HTML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기 앞서 'HTML'에 대한 정의와 기본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보자 합니다.

 

HTML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웹을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구성 요소이며 웹 콘텐츠의 의미와 구조를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웹페이지를 표현할 때, HTML 이외에 CSS 언어와 Javascirpt 언어도 사용되며 CSS 기술은 웹 페이지의 모양/표현등을 구현하며 Javascript 기술은 또는 기능/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HTML은 콘텐츠의 구조를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 입니다. HTML은 콘텐츠의 서로 다른 부분들을 씌우거나 감싸서 다른 형식으로 보이게하거나 특정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일련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태그(< >)로 담아서 단어나 이미지를 다른 어딘가로 전송하거나 텍스트를 표시하고 글씨체를 크게 또는 작게 만드는 등의 일을 할 수 있습니다.

 

'Hypertext(하이퍼텍스트)'란 웹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연결하는 링크를 말합니다. 링크는 웹의 근본적인 속성으로, 인터넷에 자료를 올리고 다른 사람이 만든 페이지로 연결합니다.

 

HTML은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글과 이미지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마크업'을 사용합니다. HTML 마크업은 다양한 '요소'를 사용하며 요소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출처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

728x90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문단 나누기  (0) 2024.12.01
웹 폼 (Web Form)  (0) 2024.11.30
HTML 레이아웃  (0) 2024.11.10
HTML 요소(HTML element)  (0) 2024.10.31
HTML 기본  (0) 2024.10.31

반복문 안에 반복문이 있는 경우를 ‘중첩 반복문’ 이라 하며

예를 들면,

for (let i = 0; i < 10; i ++) {

    for (let j = 0; j < 10; j++) {

    console.log(i, j);

}

}

0 0

0 1

0 2

~

9 9

와 같이 나타난다.

별 찍기

let i = 0;

for(let i = 0; i < 5; i++) {

    console.log(' '.repeat(5 - i - 1)+'+'.repeat(i+i+1));

}

        +

      +++

    +++++

  +++++++

+++++++++

let i = 0;

for(let i = 0; i < 5; i++) {

console.log(' '.repeat(5 - i - 1)+'+'.repeat(i+1));

}

    +

   ++

  +++

 ++++

+++++

728x90

반복문(While, for)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는 반복하는 동작을 처리하는 반복문을 가지고 있으며, 조건문과 더불어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 중 하나이다.

while문

while문의 기본 형식으로는

while (조건식);

동작문;

이 있으며 이는 조건식과 마찬가지로 조건문이 참일 경우에 설정한 동작문을 무한히 반복한다.

그러므로, 동작문의 무한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는 조건식이 항상 참인 값을 피하기 위해 변수값을 입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let i = 1;

while(i <= 100) {

console.log('hello while!'); i++;

}

(100)hello while! 100

라는 반환값을 나타내기 되는데, 이는 ‘hello While!’ 문자열을 100번 출력한 것이다.

여기서, ‘i++;’ 명령어 대신에 ‘ i = i + 1’과 ‘ i += 1’명령어를 입력해도 결과물은 똑같다.

위의 명령어를 사용할 때 마다 i 값은 1씩 커지므로 i 값이 100에 도달할 경우,

조건인 i 가 100에 도달할 때 동작문 더 이상출력되지 않는다.

for문

for문의 기본 형식은

for (시작; 조건식; 종료식)

동작문;

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for 문의 소괄호에는 세 가지 요소인 시작(식과 변수 선언), 조건식 그리고 종료식이 들어간다. 조건식과 동작문은 while문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for (let i = 1; i < 100; i++) {

console.log('Hello, for!');

}

99 Hello, for! 라는 반환값이 나타난다.

while 문은 시작, 조건문, 반복문이 따로 위치해있으나 for 문은 시작, 조건문, 반복문이 같이 위치한다.

 

for-of 반복문

for-of문은 배열을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onst users = ['A', 'B', 'C']
for (const user of users) {
	console.log(user);
	}

를 입력하였을 때

A
B
C

 

의 결과값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반복문에서 모든 요소에 대해 한 번씩 실행하고 배열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for-in 반복문

for-in 반복문은 객체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onst loggedInUser = {
  Name: "kanghyun",
  age: 28,
  isAdmin: true,
};

for (const propertyName in loggedInUser) {
  console.log(propertyName);
  console.log(loggedInUser[propertyName]);
}

와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Name
kanghyun
age
28
isAdmin
true

와 같은 결과값을 나타낸다.

 

 for-in문을 사용하여 'Name, kanghyun, age'와 같은 객체를 나타내며, 위의 'loggedInUser[propertyName]'에 의해 상수에 동적으로 접근하여 객체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break 문과 continue 문으로 반복 멈추기

break문

break문으로 특정 조건에서 실행 되는 것을 멈출 수 있는데

예를 들면,

let i = 0;

while (true) {

    if (i === 5) break; i++;

}

console.log(i); 5

의 형태로 값이 나타날 수 있는데, 여기서 break 문을 사용하여 i가 5가 될 때 반복문은 멈추게 된다.

continue문

continue 문은 특정 상황에서 멈추고 그 상황을 건너 뛰어 다시 입력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let i = 0;

while (i < 10) {

    i++;

    if ( i % 2 === 0 ) {

    continue;

}

    console.log(i);

}

1

3

5

7

9

의 형태로 값이 나오게 된다.

여기서, ‘i % 2 === 0 ‘의 조건문은 ‘상수를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continue 문법을 사용하여 반복문을 멈춘 후, 그 경우를 건너뛰고 다시 반복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