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variable)

프로그램을 만들 때는 일시적으로 특정한 값을 자주 사용할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변수를 사용한다.

이는 디스크가 아닌 메모리에 저장하는 일시적인 저장방법이다.

코딩을 할 때, 사람이 하나하나 입력하는 경우에는 실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정보처리시간 또한 길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let’ 이라는 변수를 선언하여 이를 방지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let numberOne = 123의 변수를 선언하는 입력을 한다면

let numberOne = 123

undefined

이라는 결과값을 나타내게 되고, 후에 NumberOne 이라는 입력을 하면

numberOne

123

라는 결과값을 자동으로 나타낸다.

이와 같은 ‘let’으로 시작하는 명령을 선언이라 한다.

이를 응용한다면,

 

let numberOne = 1000

let numberTwo = 2000

let numberThree = 3000

numberOne + numberTwo + numberThree

6000

 

과 같은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추후에, 이 선언을 바꾸고 싶다면 명령어를 입력하여

 

NumberOne = 4000 4000

 

와 같이 바꿀 수 있다.

또한, 이 선언문을 없애고 싶을 경우, 빈 값인 ‘null’ 값을 입력하여 선언문을 없앨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et NumberTwo = nul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한다면

 

let NumberTwo = null

undefined

 

와 같은 결과값이 나타나게 되고, 후에 NumberTwo라는 명령어를 입력하게 된다면

 

NumberTwo

null

 

과 같은 결과값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변수는 영어 뿐만이 아닌 한글, 한자, 유니코드, ‘$, _’같은 특수문자도 선언이 가능하다.

상수(constant)

‘let’ 외에도 변수를 선언하는 예약어로 ‘const’ 와 ‘var’가 있다.

‘const’는 바꿀 수 없는 선언문이며, 이를 바꾸려고 한다면 에러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const a = 'B' 라는 명령어를 입력했을 경우

 

const a = 'B'

undefined

 

라는 결과 값이 나타나며

a = 'C’ 라는 a의 변수선언문에 다른 값을 대입을한다면

a = 'C' VM7443:1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at <anonymous>:1:3

와 같은 결과값이 나타난다.

 

‘var’는 다시 선언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간 착오를 불러 일으킬 수 있으므로 버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과거의 명령에서는 쓰였지만 현재는‘let’과 ‘const’로 완벽히 대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