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의 색을 바꾸고자 할 경우, HTML태그 안에 style=”(원하고자 하는 색상 값)”을 넣어서 색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설정값을 위해서 16진법을 이용하여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16진법을 이용한다면, 모든 색상을 6자리로 표현할 수 있고 2자리씩 세 쌍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각각 빨강, 초록, 파랑 부분을 의미하며 이 세가지 색상을 이용하여 모든 색상을 조합할 수 있다.

 

 원하고자 하는 색상이 명확할 경우, 구글에서 ‘색상 선택도구’를 검색하여 구글에 내장된 색상 선택도구를 이용할 수 있으며 vs코드에 색상코드 위로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면 내장된 색상 선택도구 창이 열려 색상을 선택하며 코드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코드로 표현하는 것이 아닌 RGB로 표현하는 등의 다양한 표현방법이 존재한다.

728x90

선택자

속성 선택자(Type Selector) : 특정 요소를 입력한 다음, 이에 관한 CSS 규칙을 추가하면 이를 특정 요소의 속성으로 추가할 수 있다

ID 선택자(ID Selector) : 특정 HTML 요소에 대한 ID 속성 및 ID 이름을 추가하여 생성할 수 있다. (’#id’를 사용)

그룹 선택자(Group Selector) : 여러 요소 유형을 함께 그룹화 할 수 있으며 선택자를 이용해 정의한 특정 CSS 규칙을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클래스 선택자(Class Selector) : ID 선택자와 흡사하며 클래스를 HTML 요소에 속성으로 추가한 후 클래스의 이름을 정의하고 CSS에서 클래스 이름을 입력하며 ID 선택자는 고유성으로 인해 특정 요소에 대해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지만 클래스 ’.class’를 사용)

 

결합자

결합자는 서로 다른 선택자들을 결합하는 것이다.

 '후손 결합자 (Descendant Combinator)'는 '공백(space)'를 사용하여 표현하며

예를 들어,

div p {
color: blue;
}

와 같이 표현되며 이는 ‘<div>’ 요소 내의 모든 ‘<p>’ 요소에 스타일이 적용된다.

여기서, ‘<p>’ 요소는 직계 자식보다 더 아래인 후손까지 포함된다.

자식 결합자 (Child Combinator)

자식 결합자는 ‘>’ 기호를 사용하며

예를 들어,

div > p {
font-weight: bold;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는 ‘<div>’ 요소의 직계 자식인 ‘<p>’ 요소에만 적용시킨다.

728x90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상 설정  (0) 2024.12.16
상속(Inheritance) 개념과 계단식 상속(Cascading logic)  (0) 2024.12.13
이미지 스타일의 변경  (1) 2024.12.10
텍스트의 크기, 굵기와 글꼴 설정  (0) 2024.12.08
가상 선택자(Pseudo Selectors)  (0) 2024.12.07

상속(Inheritance) 개념과 계단식 상속(Cascading logic)

 

상속(Inheritance)

특정 개념이 자손(하위 항목)에게도 적용된다.

부모-자식 요소

요소 안에 다른 요소가 포함된다면 위에 설정된 요소는 부모 요소이며 그 안에 포함된 요소는 자식 요소라고 한다.

또 자식 아래에 요소가 포함된다면, 이는 자손 요소라고 한다.

이러한 상위-하위 관계에 있는 요소를 부모-자식 요소라고 한다.

 

계단식 상속(Cascading logic)

하나의 요소에 여러 규칙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규칙이나 속성이 두 개 이상 있을 경우 특정 선택자에 대하여 가장 최신 규칙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728x90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상 설정  (0) 2024.12.16
선택자와 결합자(selectors & Combinators)  (0) 2024.12.14
이미지 스타일의 변경  (1) 2024.12.10
텍스트의 크기, 굵기와 글꼴 설정  (0) 2024.12.08
가상 선택자(Pseudo Selectors)  (0) 2024.12.07

이미지의 크기를 바꾸고 싶다면

img {
    width: 200px;
    height: 200px;
    border-radius: 100px;
}

등의 속성을 이용하여 높이, 넓이, 모양 등을 설정 가능하다.

 

또, 이미지의 위치를 옮기고 싶다면 CSS폴더에서

body {
    text-align: center;
}

을 입력해줄 수 있는데, 이는 이미지가 body에 속한 콘텐츠라는 가정이며, 'text-align: center;'는 콘텐츠를 가운데로 정렬해주는 요소이다.

 

728x90

텍스트 크기와 굵기 설정

font-size와 font-weight를 이용하면 텍스트의 크기를 바꿀 수 있으며

font-size를 사용하면 다양한 단위를 이용하여 글자 크기를 바꿀 수 있고, font-weight를 이용하면 두께를 바꿀 수 있다.

(px, inch, centi등도 입력 가능)

 

예시

.roboto-regular {
  font-family: "Roboto", serif;
  font-weight: 400;
  font-style: normal;
}

 

 

글꼴 설정

글꼴은 외부 페이지에서 로드할 수도 있으며, ‘href’속성을 이용하여 링크를 입력하면 된다.

예를 들어,

<link rel="preconnect" href="https://fonts.googleapis.com">
<link rel="preconnect" href="https://fonts.gstatic.com" crossorigin>
<link href="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Roboto:wght@400;700&display=swap" rel="stylesheet">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728x90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Inheritance) 개념과 계단식 상속(Cascading logic)  (0) 2024.12.13
이미지 스타일의 변경  (1) 2024.12.10
가상 선택자(Pseudo Selectors)  (0) 2024.12.07
ID 선택자(ID Selectors)  (0) 2024.12.05
CSS코드 저장, 병합  (1) 202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