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그리드(CSS Grid)

CSS 그리드는 CSS에서 2차원적인 열과 행을 통제하는 레이아웃을 만들 때 사용하며 이는 플렉스박스의 핵심이론을 따른다.

 

display: grid

‘display: grid;’ 입력 시, 개발도구에서 ‘grid’ 옵션이 활성화 된 것을 볼 수 있으며 행과 열을 세는 숫자들이 레이아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main ul {
display: grid;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gird-template-columns

‘gird-template-columns’ 입력 시, 그리드 안에 있는 구체적인 열의 수를 사전 정의할 수 있게 한다.

(’gird-tamplaate-columns: 400px 400px;’ 입력 시, 두 개의 열이 400px로 나타난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CSS 그리드를 이용할 때에는 ‘픽셀(px)’이 아닌 ‘프랙션(fractions)’을 이용하며 이는 특정 열에 적용해줄 그리드 내에 사용 가능한 영역의 공간을 정한다.

 

예를 들어, 

main ul {
  display: grid;
	gird-tembpate-columns: 2fr 1fr;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전체 넓이가 3fr이고 3fr의 넓이 중 첫번 째 열이 2fr, 두번째 열이 1fr의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gap

맨 앞 행과 맨 앞 열의 틈을 정하는 명령어이며

예를 들면

main ul {
  display: grid;
	gird-tembpate-columns: 2fr 1fr;
	gap: 100px 200px;
	}
	  

와 같이 나타날 수 있으며, 100px만큼의 행이 벌어지고 200px만큼의 열이 벌어지게 된다.

 

li:nth-of-type

그리드 컨테이너 안에 해당하는 번호를 지정하는 명령어이며

예를 들면,

li:nth-of-type(3) {
	}

와 같이 나타난다.

(’li:nth-of-type(3))’ 입력 시, 3번째에 해당하는 목록이 지정된다.)

 

grid-column

요소가 차지하는 열의 수를 지정하는 명령어이다.

예를 들면,

li:nth-of-type(3) {
	grid-column: 1 / span 2;
	}

와 같이 나타나고 해당 목록이 차지하는 열에서부터 2개의 요소에 해당하는 공간을 차지한다.

728x90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쿼리(Media Queries)  (0) 2024.11.26
CSS 박스 모델  (0) 2024.11.25
CSS 선택자  (1) 2024.11.13
CSS 기본  (1) 2024.11.04
CSS란?  (1) 2024.10.31

태그 유형 선택자

o CSS: p { ... }

o 예를 들어 이 HTML 요소를 선택하면: <p>Some text...</p>

o 이 선택자는 이 태그 유형의 모든 HTML 요소를 선택한다.

아이디 선택자

○ CSS: #some-id { ... }

○ 예를 들어 이 HTML 요소를 선택하면: <h1 id="some-id">...</h1>

○ 이 선택자는 이 ID가 있는 요소를 선택한다.(페이지당 한 번만 가능)

클래스 선택자

○ CSS: .some-class { ... }

○ 예를 들어 이 HTML 요소를 선택하면: <h1 class="some-class">...</h1>

○ 이 선택자는 이 클래스가 있는 모든 HTML 요소를 선택한다.

속성 선택기

○ CSS: [src] { ... }

○ 예를 들어 이 HTML 요소를 선택하면: <img src="...">

○ 이 선택자는 이 HTML 속성이 있는 모든 요소를 ​​선택한다.

 범용 선택기

○ CSS: * { ... }

○ 예를 들어 이 HTML 요소를 선택하면: <p>....</p><img ...>

○ 이 선택자는 모든 HTML 요소를 선택한다.(상속을 통하지 않고 모든 HTML 요소를 개별적으로 대상으로 지정하는 것처럼 직접 가능).

 

 그룹화 선택자/선택자 리스트

○ CSS: p, .some-class { ... }

○ 예를 들어 이 HTML 요소를 선택하면: <p>...</p><h2 class="some-class">...</h2>

○ 이 선택자는 해당 목록의 개별 선택자와 일치하는 모든 요소를 ​​선택한다.

결합 선택자

○ CSS: p.some-class { ... }

○ 예를 들어 이 HTML 요소를 선택하면: <p class="some-class">...</p>

○ 이 선택자는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모든 요소를 ​​선택한다.(예: 이 예제에서는 "some-class" 클래스가 있는 "<p>" 요소).

의사 선택자

○ CSS: a:hover { ... }

○ 예를 들어 이 HTML 요소를 선택하면: <a>...</a>(사용자가 해당 요소 위로 마우스를 가져갈 때)

○ 이 선택기는 이 "의사 상태"를 충족하는 모든 요소를 ​​선택한다.(즉, 이 예에서 가리키고 있는 모든 링크).

 

728x90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쿼리(Media Queries)  (0) 2024.11.26
CSS 박스 모델  (0) 2024.11.25
CSS 그리드(CSS Grid)  (1) 2024.11.24
CSS 기본  (1) 2024.11.04
CSS란?  (1) 2024.10.31

CSS 색상 설정법

설정 글자의 색을 바꾸고자 할 경우, HTML태그 안에 style=”(원하고자 하는 색상 값)”을 넣어서 색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설정값을 위해서 16진법을 이용하여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16진법을 이용한다면, 모든 색상을 6자리로 표현할 수 있고 2자리씩 세 쌍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각각 빨강, 초록, 파랑 부분을 의미한다.

이 세가지 색상을 이용하여 모든 색상을 조합할 수 있다.

원하고자 하는 색상이 명확할 경우, 구글에서 ‘색상 선택도구’를 검색하여 구글에 내장된 색상 선택도구를 이용할 수 있으며 vs코드에 색상코드 위로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면 내장된 색상 선택도구 창이 열려 색상을 선택하며 코드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코드로 표현하는 것이 아닌 RGB로 표현하는 등의 다양한 표현방법이 존재한다.

 

글로벌 CSS 스타일의 사용

위의 사용 방식은 하나하나 적용하게 되는 ‘인라인 스타일’이라고 불리며

실무에서 웹페이지를 만들게 될 때, 수백개 이상의 코드를 사용해야 하므로 이는 굉장히 가시성이 낮아지며 일률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필요 부분에 일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글로벌 CSS 스타일’을 사용하면 여러 요소에 개별적으로 스타일을 적용 할 필요가 없다.

이는, <style> 요소를 이용할 수 있으며 CSS규칙을 따라야 한다.

예를 들어,

<style>

    p { font-family: sans-serif;
    
    text-align: center;
    
     color: rgb(50, 50, 50);
    }
    </style>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p’는 모든 ‘p’요소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스타일을 설정 하였고 중괄호 안에 있는 내용은 해당 요소에 대한 스타일 설정 내용이며, 스타일 설정마다 ‘세미콜론(;)’으로 지정을 끝내야 한다.

이러한 요소는 웹페이지에 영향을 끼치지만 웹페이지 상에 나타나지 않는데, 이를 ‘메타 정보’라 한다.

실무에서는 이러한 HTML 문서 구조를 일정한 규칙에 의해 완성되는데

예를 들면,

 

<!DOCTYPE html>
<html>
    <head>

    </head>
    <body>
        
    </body>
</html>

와 같이 나타나며, 이를 설명하자면

맨 위 부분에는 <!DOCTYPE html> 이라는 요소를 입력하며, 이는 html의 버전을 알려주는 요소이다.

<head> 섹션과 <body> 섹션으로 나누어지며 이는 메타 데이터와 시각적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head> 섹션에서는 메타데이터 부분을 담당하며

<body> 섹션에서는 웹페이지의 콘텐츠 부분을 담당한다

<head> 요소와 <body> 요소는 <html> 요소로 감싸져 있어야 한다.

 

 또한, <title> 요소를 <head> 요소 안에 추가할 수 있는데 이는 페이지 자체에 표시되지 않고 탭과 검색 엔진 결과에 표시된다.

 

728x90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쿼리(Media Queries)  (0) 2024.11.26
CSS 박스 모델  (0) 2024.11.25
CSS 그리드(CSS Grid)  (1) 2024.11.24
CSS 선택자  (1) 2024.11.13
CSS란?  (1) 2024.10.31

 CSS(Cascading Style Sheets)

CSS는  사용자에게 웹브라우저의 문서 외에 HTML 요소의 형태를 제어하고 스타일 등에 대한 디자인을 이용할 수 있는 마크 업을 표시하는 언어입니다.

 

이는 글꼴, 색상, 크기 및 간격 또는 레이아웃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CSS를 잘 사용하게 되면 지루하지 않으며 다른 웹페이지들과 차별화 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728x90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쿼리(Media Queries)  (0) 2024.11.26
CSS 박스 모델  (0) 2024.11.25
CSS 그리드(CSS Grid)  (1) 2024.11.24
CSS 선택자  (1) 2024.11.13
CSS 기본  (1) 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