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과 조건부 연산자(Conditional Expressions)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으며 조건문의 기본 형식은
if (조건식)
동작문;
이며 조건식에는 조건이 들어가야 하고, 동작문에는 동작이 들어가야 한다.
예를 들어,
if (true){
console.log('Good Evening!')
}
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Good Evening!
이라고 나타나며 undefined
라는 반환값이 나타난다.
하지만,
if (false){
console.log('Goood Evening!');
}
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나타나는 글은 없으며, undefined
라는 반환값만 나타난다.
여기서 true라는 값을 일일이 넣어줄 필요는 없으며 true로 형 변환되는 값(참인 값)이나 그것을 담고있는 변수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t condition = true
if(condition)
{ console.log('Hello If!');
}
Hello If!
와 같이 조건이 참이라면 코드는 작동하게 된다.
else if문
else if는 조건과 동작문에 여러가지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인데, 이는
if(조건식) {
(동작문);
}
else if(조건식) {
(동작문); }
else {
(동작문);
}
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조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마지막 else 문은 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된다.
Switch문
조건문은 if문과 switch문이 있으며 조건을 충족할 때 실행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차이점 또한 있다.
이는
switch (조건식) {
case (비교조건식):
동작문;
}
의 형태이며 두개의 조건식이 필요한 형태로 나타난다. switch 옆의 조건식이 case 옆의 비교조건식과 일치(===)한다면, 해당 동작문이 실행된다. 보통 조건식에 변수를 넣고 비교조건식에 변수와 비교할 값을 넣는다.
예를 들어,
let value = 'a';
switch (value) {
case ('a') : console.log('A');
}
A
의 형태로 나타난다.
조건부 연산자(conditional expressions)
ㅡ
if문과 switch문 외에도 분기 처리에 사용하는 식이 있는데, 이를 조건부 연산자 또는 삼항 연산자로 표현한다.
조건부 연산자의 기본 형식은
조건식 ? 참인 형식 : 거짓인 형식
의 형태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문이 아니라 식이기 때문에 결과값이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1 > 2 ? '참' : '거짓' '거짓'
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연산자는 코드를 줄이는 데에 유용하나, 코드가 너무 길다면 오히려 복잡해 보일 수 있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바스크립트 중첩반복문과 별 찍기 (0) | 2024.10.23 |
|---|---|
| 자바스크립트 조건반복문 (1) | 2024.10.23 |
| 자바스크립트 변수와 상수 (1) | 2024.10.21 |
|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0) | 2024.10.20 |
| 자바스크립트 기본 문법 (1) | 202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