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진수 체계와 디지털 코드


1. 2진수 체계의 기본

  • 2진수는 0과 1 두 개의 숫자로 모든 수와 정보를 표현하는 체계다.
  • 정수부의 각 자리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2의 거듭제곱 가중치를 가진다.
  • 소수부의 각 자리는 2의 음의 거듭제곱 가중치를 가진다.
  • 비트(bit)는 2진수의 최소 단위이며, 바이트(byte)는 8비트로 구성된다.
진법 기호 사용 숫자 특징
2진수 (2) 0, 1 컴퓨터의 기본 수 체계
8진수 (8) 0~7 2진수 3자리씩 묶어 변환
16진수 (16) 0~9, A~F 2진수 4자리씩 묶어 변환

2. 진법 변환 방법

  • 10진수 → 2진수: 정수는 2로 나누기 반복, 소수는 2를 곱하기 반복
  • 2진수 → 10진수: 각 자리의 2의 거듭제곱 값을 합산
  • 2진수 ↔ 8진수: 2진수 3자리씩 묶어서 변환
  • 2진수 ↔ 16진수: 2진수 4자리씩 묶어서 변환

3. 2진수 연산과 보수

  • 덧셈/뺄셈: 자리올림, 자리내림 규칙 적용
  • 1의 보수: 0↔1로 변환
  • 2의 보수: 1의 보수에 1을 더함
  • 부호비트: 0(양수), 1(음수)
  • 2의 보수 표현은 컴퓨터에서 음수 연산에 가장 널리 사용된다.

4. 디지털 코드와 정보 표현

  • BCD(Binary Coded Decimal): 10진수 0~9를 4비트 2진수로 표현, 1010~1111은 무효
  • ASCII: 7비트로 영문자, 숫자, 기호를 표현
  • 패리티 비트: 오류 검출용 비트(짝수/홀수 패리티)
  • CRC: 순환 중복 검사, 오류 검출 코드
용어 설명
바이트(Byte) 8비트의 묶음
LSB/MSB 최하위/최상위 비트

정리

2진수 체계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수 표현 방식이며, 진법 변환, 2의 보수, BCD, ASCII 등 다양한 디지털 코드가 정보 표현과 오류 검출에 활용된다.
각 진법의 변환 원리와 디지털 코드의 특징을 이해하면 컴퓨터 내부 데이터 처리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728x90

신호 변환과 변조


1. 정보, 데이터, 신호의 개념

정보(information)는 예를 들어 "비가 온다"와 같은 사실이나 의미를 가진다. 이 정보를 멀리 있는 누군가에게 전달하기 위해 0과 1 같은 데이터(data)로 바꾼다. 실제로 공간을 이동하는 것은 전자기파와 같은 신호(signal)다. 데이터와 신호는 각각 아날로그와 디지털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2.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구분

  • 아날로그(Analog): 연속적(continuous)이고, 값이 부드럽게 변화한다. 예: 목소리, 음악, 영상, 실수
  • 디지털(Digital): 불연속적(discrete)이고, 값이 단계적으로 변화한다. 예: 문자, 정수, 컴퓨터 데이터(0/1)
신호 역시 아날로그 신호(연속 파형)와 디지털 신호(펄스, 불연속 신호)로 나뉜다.

3. 데이터와 신호의 조합에 따른 변환 방식

데이터 신호 방식 설명
아날로그 아날로그 아날로그 변조 AM, FM, PM 등
아날로그 디지털 PCM Pulse Code Modulation (A/D 변환)
디지털 디지털 라인코딩 Unipolar, Polar, Bipolar 등
디지털 아날로그 디지털 변조 ASK, FSK, PSK, QAM 등

4. 디지털 전송: PCM과 라인코딩

  • PCM(Pulse Code Modulation):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3단계(표본화 Sampling → 양자화 Quantizing → 부호화 Encoding)로 진행된다. 표본화 정리(Nyquist theorem)에 따라 원 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2배 이상으로 샘플링해야 한다.
  • 라인코딩(Line Coding):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방식이다. Unipolar, Polar(NRZ, RZ, Biphase/Manchester), Bipolar(AMI)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5. 아날로그 변조

  • AM(Amplitude Modulation): 반송파의 진폭을 정보신호에 따라 변화시킨다.
  • FM(Frequency Modulation): 반송파의 주파수를 정보신호에 따라 변화시킨다.
  • PM(Phase Modulation): 반송파의 위상을 정보신호에 따라 변화시킨다.
아날로그 변조는 라디오(AM, FM) 등에서 사용된다. 펄스 변조(PAM, PPM, PWM)도 있으나, 주로 디지털 전송과 연관된다.

6. 디지털 변조

  • ASK(Amplitude Shift Keying):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 진폭을 바꾼다.
  • FSK(Frequency Shift Keying):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 주파수를 바꾼다.
  • PSK(Phase Shift Keying):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 위상을 바꾼다. BPSK, QPSK, 8-PSK 등으로 확장된다.
  •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바꾼다. 16-QAM, 64-QAM 등 고속 데이터 전송에 사용한다.
  • MSK(Minimum Shift Keying): PSK와 FSK를 결합한 방식으로, 대역폭 효율이 높다.
디지털 변조는 주로 모뎀에서 사용되며, 신호의 대역폭 효율과 잡음 내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선택된다.

7. 동기 검파와 비동기 검파

  • 동기 검파(Coherent Detection): 송신기와 수신기의 위상을 일치시켜 복조한다. PSK, QAM 등에서 사용한다.
  • 비동기 검파(Noncoherent Detection): 위상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복조한다. AM, DPSK, MSK 등에서 사용한다.

8. 주요 용어 및 정리

  • CODEC: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복원 장치
  • DSU: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장치(라인코딩)
  • 모뎀(Modem):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복원하는 장치
  • Eye Pattern: 디지털 신호의 ISI(Inter Symbol Interference) 측정 그래프
  • Nyquist Theorem: 최고 주파수의 2배로 샘플링해야 원 신호 재생 가능

정리

아날로그와 디지털 데이터 및 신호의 개념, PCM과 라인코딩, 아날로그 변조와 디지털 변조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데이터와 신호는 각각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나뉘며, 실제 통신에서는 데이터의 특성과 전송 거리에 따라 다양한 변환 및 변조 방식이 사용된다. PCM은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로 바꾸는 대표적인 방식이고, 라인코딩은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바꾼다. 아날로그 변조(AM, FM, PM)는 주로 라디오 등에서, 디지털 변조(ASK, FSK, PSK, QAM 등)는 데이터 통신과 모뎀에서 널리 활용된다. 각 방식의 원리와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데이터통신의 핵심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728x90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선구성과 교환방식  (0) 2025.05.05
다중화 기술  (0) 2025.05.03
전송방식과 전송매체  (0) 2025.04.26
OSI 참조모델  (0) 2025.04.23
정보통신과 데이터통신의 개요  (0) 2025.04.19

운영체제와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개요


1. 시스템 소프트웨어란?

  •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이다.
  • 대표적으로 운영체제(OS)가 있으며, 하드웨어 관리, 자원 할당, 프로그램 실행, 인터럽트 관리, 장치 관리를 담당한다.

2.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구성

구성요소 주요 역할
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작동 상태 감시, 작업 우선순위 지정, 데이터 관리
감시 프로그램 프로그램 실행과 시스템 상태 감시
작업 제어 프로그램 작업 순서 관리, 자원 할당, 스케줄링
자료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 전송, 자료 유지보수
처리 프로그램 운영자 요청 작업 처리, 언어 번역/서비스/문제 프로그램

3. 언어 번역 프로그램과 서비스 프로그램

  • 언어 번역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변환(컴파일러, 어셈블러, 인터프리터)
  • 서비스 프로그램: 연결 편집기, 정렬/합병, 라이브러리 관리, 유틸리티(에디터, 디버거 등)

정리

운영체제와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효율적 관리와 사용자의 편리한 환경 제공을 담당한다.
제어 프로그램, 감시 프로그램, 언어 번역기, 서비스 프로그램 등 다양한 요소가 유기적으로 동작하여 시스템 전체를 안정적으로 운영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구조와 역할을 이해하면 컴퓨터의 기본 동작 원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728x90

'컴퓨터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U (Arithmetic Logic Unit)  (0) 2025.05.04
2진수 체계와 디지털 코드  (0) 2025.04.30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 2  (0) 2025.04.25
CPU (Central Processing Unit)  (0) 2025.04.24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  (0)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