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선구성과 교환 방식


1. 회선구성(Line Configuration)

구분 설명 특징
점대점(Point-to-Point) 2개의 디바이스가 전용 링크로 일대일 연결 고속, 간단, 주소 불필요, 설치비용↑
다중점(Multipoint) 3개 이상 디바이스가 하나의 링크를 공유 주소 필요, 비용↓, 효율↑

2.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

토폴로지 구조 장점 단점
메시(그물형) 모든 디바이스가 점대점으로 모두 연결
링크 수: n(n-1)/2, 포트 수: n-1
대역폭 확보, 우회경로(안정성), 보안↑ 링크/포트 수 증가, 설치·재구성 어려움, 비용↑
스타(성형) 중앙 허브에 각 디바이스가 연결 설치·재구성 쉬움, 고장 식별 용이, 포트/링크↓ 허브 고장 시 전체 마비
트리(계층형) 스타형 확장, 허브 간 계층적 연결 대규모 네트워크, 현대 LAN 표준 상위 허브 고장 시 하위 전체 영향
링(환형) 각 디바이스가 양옆과 연결, 신호가 순환 설치·장애처리 쉬움, 순환감지 용이 링 끊어지면 전체 마비(듀얼링 보완)
버스 공유 버스(백본)에 드롭라인으로 연결 설치 쉬움, 케이블↓ 재구성·수리 어려움, 백본 장애 시 전체 중단
혼합(하이브리드) 여러 토폴로지 혼합 유연성, 다양한 환경 적용 설계·관리 복잡
  • Physical topology: 실제 연결 구조
  • Logical topology: 신호가 흐르는 논리적 경로

3. 회선교환 방식(Circuit Switching)

  • 데이터 전송 전, 송수신 장치 간에 물리적 회선을 먼저 설정한다.
  • 회선 설정 후, 통신이 끝날 때까지 회선을 독점한다.
  • 대표 예: 전화망
장점 단점
고정대역폭 보장
실시간 전송 적합
연결 후 연속적 데이터 전송
비효율(회선 독점), 비용↑
연속적 데이터 없으면 회선 낭비
대규모 망에 비실용적
  • 제어신호 종류: 감시/관리/주소/호정보/망관리 제어신호
  •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통신망 관리 표준, 5계층 구조(BML, SML, NML, EML, NEL)

회선교환 방식의 구현

  • 공간분할 방식: 기계식·전자식 접점(크로스바 교환기 등)
  • 시분할 방식: TDM 버스 교환, 타임 슬롯 교환(TSI), 시간 다중화 교환(TST)
  • 슬립(Slip): 디지털 교환기 클록 불일치로 인한 데이터 손실 현상

4. 메시지교환 방식(Message Switching)

  • 메시지 전체를 노드에 저장 후, 다음 노드로 전달(store and forward)
  • 지연↑, 노드 저장장치↑, 현재는 사용되지 않음(패킷교환으로 대체)

5. 패킷교환 방식(Packet Switching)

  • 메시지를 작은 패킷 단위로 분할해 전송
  • 각 패킷에 주소 부여, 노드에서 일시 저장 후 전송(store and forward)
  • 현재 데이터 통신망(인터넷 등)에서 표준 방식
구분 가상회선 방식(Virtual Circuit) 데이터그램 방식(Datagram)
연결 Connection-oriented
패킷 전송 전 경로 설정
Connectionless
경로 미설정, 패킷별 독립 전송
순서 패킷 순서 보장 순서 바뀔 수 있음(수신측 재정렬 필요)
회선 독점 공유(독점 아님) 공유
예시 X.25, 초창기 PC통신 인터넷(IP), 현대 네트워크
  • 패킷을 너무 작게 분할하면 헤더 증가, 노드 지연, 분할/조립 시간 증가 등 단점이 있다.
  • 패킷교환은 코드 및 속도 변환, 효율적 회선 이용이 가능하다.

6. 교환 방식 비교

구분 회선교환 메시지교환 패킷교환
연결 연결형(전용회선) 비연결형 연결형/비연결형(가상회선/데이터그램)
단위 비트/바이트 메시지 패킷
지연 짧음(연결 후 연속 전송) 김(store and forward) 짧음(효율적 전송)
회선 이용률 낮음(독점) 높음 높음(공유)
실시간성 우수(전화망 등) 불리 적합(인터넷 등)

정리

회선구성은 점대점과 다중점으로,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메시, 스타, 트리, 링, 버스, 혼합형 등으로 나뉜다.
교환 방식은 회선교환, 메시지교환, 패킷교환(가상회선/데이터그램)으로 구분하며, 현대 데이터 통신에서는 패킷교환 방식이 표준이 되었다.
각 방식의 원리, 장단점, 실제 적용 사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728x90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통신 핵심내용 - 1  (1) 2025.05.15
데이터링크 제어  (0) 2025.05.08
다중화 기술  (0) 2025.05.03
신호 변환과 변조  (0) 2025.04.29
전송방식과 전송매체  (0)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