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통신 핵심내용 - 1
데이터통신 핵심요약
1. 데이터와 신호, 전송 기본
- 아날로그 vs 디지털: 아날로그(연속값), 디지털(불연속값)
- PCM 변환 3단계: 표본화(Sampling) → 양자화(Quantizing) → 부호화(Encoding)
- 샘플링 정리(Nyquist): 샘플링 주파수 ≥ 2 × 최고 주파수(fmax)
- 전화 1회선 PCM 전송률: 8,000Hz × 8bit = 64kbps
- Eye Pattern: ISI(심볼간 간섭) 측정, 눈의 상하폭=잡음여유, 좌우폭=샘플링주기
2. 라인코딩(Line Coding) & 디지털 신호
| 방식 | 특징 | 비고 |
|---|---|---|
| Unipolar | +V, 0 사용, DC성분↑, 동기화 어려움 | 거의 사용 안함 |
| Polar (NRZ, RZ, Biphase) | +V, -V 사용, DC성분 상쇄 | Manchester(비트 중앙 반전, 동기화↑) |
| Bipolar (AMI) | +V, 0, -V 교대로 사용, DC성분 최소 | 전화망 등 |
- 맨체스터(Manchester) 코딩: 비트 중앙에서 항상 신호 반전(동기화↑)
- 양자화 잡음: 원 신호와 양자화 값의 차이, 레벨↑시 감소
3. 전송 속도, 대역폭, 채널 용량 공식
| 용어 | 공식/정의 | 단위 |
|---|---|---|
| 비트율(bit rate) | 보오율 × 신호당 비트수 | bps |
| 채널 용량(샤논) | C = W × log₂(1+S/N) | bps |
| 대역폭(Bandwidth) | 최고주파수 - 최저주파수 | Hz |
- 나이퀴스트(이상적, 잡음 無): C = 2W × log₂M
4. 전송 방식 & 매체
| 방식 | 설명 | 예시 |
|---|---|---|
| 단방향(Simplex) | 한쪽 방향만 전송 | 방송, 키보드 |
| 반이중(Half-duplex) | 양방향 교대로 전송 | 무전기 |
| 전이중(Full-duplex) | 양방향 동시 전송 | 전화, LAN |
- 직렬 전송: 한 번에 한 비트(USB, LAN)
- 병렬 전송: 여러 비트 동시(컴퓨터 내부 버스)
- 동기식/비동기식: 프레임/문자 단위, 플래그/시작·종료 비트
| 매체 | 특징 | 예시 |
|---|---|---|
| TP(UTP/STP) | 저렴, 카테고리 등급, RJ-45 | 랜선, 전화선 |
| 동축케이블 | 내부·외부 도체, 주파수 넓음 | TV 안테나 |
| 광섬유 | 빛, 대역폭↑, 잡음강함 | 백본, 장거리 |
| 무선(RF) | 이동성↑, 전파대역(VLF~EHF) | Wi-Fi, 휴대폰 |
5. 다중화(Multiplexing)
| 방식 | 원리 | 활용 |
|---|---|---|
| FDM | 주파수 분할, 각 신호에 대역 할당, guard band | 라디오, CATV |
| WDM | 광통신, 파장 분할 | 광섬유 |
| TDM | 시분할, 타임슬롯 할당(동기/비동기) | 디지털 전화, 데이터통신 |
| CDM | 코드 분할, 확산코드 | CDMA |
- SONET/SDH: 광통신 동기식 다중화 표준(OC-1, OC-3 등)
- Multiplexer/DEMUX: 다중화/복구 장치
6. 네트워크 토폴로지 & 회선구성
| 토폴로지 | 특징 | 암기 포인트 |
|---|---|---|
| 메시 | 모든 노드가 점대점, 링크수 n(n-1)/2 | 대역폭↑, 설치비용↑ |
| 스타 | 중앙 허브, 설치/관리 쉬움 | 허브 장애=전체 장애 |
| 트리 | 스타 확장, 계층적 | 현대 LAN 표준 |
| 링 | 순환 연결, 신호가 한 방향 | 장애시 전체 마비 |
| 버스 | 공유 백본, 드롭라인 | 설치 쉬움, 재구성 어려움 |
7. 교환 방식 & 데이터링크 계층 제어
| 구분 | 특징 | 암기 포인트 |
|---|---|---|
| 회선교환 | 연결형, 회선 독점, 실시간, 전화망 | 연속적 데이터에 적합, 비효율 |
| 패킷교환 | 패킷 단위, 공유, 효율↑, 인터넷 | 가상회선(연결형), 데이터그램(비연결형) |
| 메시지교환 | 전체 메시지 저장 후 전달 | 지연↑, 현재는 사용 안함 |
- ARQ(Stop-and-Wait, Go-back-N, Selective Repeat): 오류 검출시 재전송
- FEC(Hamming 등): 리던던시로 수신측에서 직접 오류 정정
- 슬라이딩 윈도우: 흐름제어+오류제어, 윈도우 크기, ACK 번호
- Polling/Selection: Master-Slave 방식, Polling=Slave→Master, Selection=Master→Slave
728x90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AN 기술 (1) | 2025.06.04 |
|---|---|
|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란? (0) | 2025.06.03 |
| 데이터링크 제어 (0) | 2025.05.08 |
| 회선구성과 교환방식 (0) | 2025.05.05 |
| 다중화 기술 (0) | 2025.05.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