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란?
데이터링크 프로토콜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은 OSI 7계층 중 2계층(데이터링크 계층)에서 구현되는 규격들의 집합입니다.
주요 역할은 회선 제어(Line Control), 흐름 제어(Flow Control), 오류 제어(Error Control) 등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프로토콜의 분류
- 동기식 프로토콜
- 문자 위주 방식 (Character-oriented)
- 비트 위주 방식 (Bit-oriented)
- 비동기식 프로토콜 (거의 사용되지 않음)
문자 위주 프로토콜 (Character-oriented Protocol)
- 프레임을 바이트(8비트) 단위로 구성하며, ASCII 제어문자를 사용
- 대표 프로토콜: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1964년 IBM 개발)
- 비트 위주 프로토콜에 비해 비효율적이어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 문자 코드에 의존적이므로, 통신하는 장치 간 문자 코드 체계가 일치해야 함
- 주로 동기식 전송을 사용하지만, 비동기식 전송도 지원
- 점대점(Point-to-Point), 멀티포인트(Multi-point) 모두 지원
- 흐름제어/오류제어: 정지-대기 ARQ(Stop-and-Wait ARQ) 사용, 반이중(Half Duplex)만 지원
BSC 프레임 구조
- SYN: 동기 문자, 2개 이상의 SYN으로 시작(프레임 동기화)
- SOH: 헤더의 시작
- Header: 송수신 장치의 주소, 프레임 식별 번호 등 제어 정보
- STX: 본문의 시작
- Data: 실제 데이터 본문
- ETX: 본문의 끝
- BCC: 오류제어용, 1바이트 LRC 또는 2바이트 CRC
데이터 투명성(Data Transparency)과 DLE
- 어떠한 비트 조합도 제어정보와 혼동되지 않고 데이터로 전송 가능해야 함
- DLE(Data Link Escape) 문자를 사용하여 데이터 투명성 보장
- 본문 내에 제어문자(STX, ETX 등)가 등장하면 앞에 DLE 문자 삽입
- 두 DLE 문자 사이의 모든 문자는 데이터로 취급
- 투명 영역 내에 제어문자와 동일한 비트 패턴이 있어도 제어문자로 취급하지 않음
- 본문 내에 DLE와 동일한 비트 패턴이 있으면 DLE 문자를 하나 더 추가
BSC 주요 전송 제어문자
| 문자 | 의미 | 기능 |
|---|---|---|
| SYN | Synchronization | 문자 동기 |
| SOH | Start of Header | 헤더의 시작 |
| STX | Start of Text | 본문의 시작 및 헤더의 종료 |
| ETX | End of Text | 본문의 종료 |
| ETB | End of Transmission Block | 블록의 종료 |
| EOT | End of Transmission | 전송 종료 및 데이터 링크 해제 |
| ENQ | Enquiry | 상대편에 데이터 링크 설정 및 응답 요구 |
| DLE | Data Link Escape | 데이터 내의 제어문자를 데이터로 취급 |
| ACK | Acknowledgment | 긍정 응답 |
| NAK | Negative Acknowledgment | 부정 응답 |
비트 위주 프로토콜 (Bit-oriented Protocol)
- 프레임을 비트의 연속(비트열)로 간주
- 문자 코드에 의존하지 않으며, 데이터 투명성이 뛰어남
- 멀티미디어 데이터(오디오, 비디오 등) 전송에 적합
- 대표 프로토콜: SDLC, ADCCP, HDLC, LAPB, LAPD, LAPM, Frame Relay, PPP
비트 위주 프로토콜의 발전
- 1975년: IBM이 SDLC(Synchronous Data Link Control) 개발
- 1979년: ANSI에서 SDLC 기반으로 ADCCP 표준화
- 1984년: ISO에서 ADCCP를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로 국제 표준화
- 1981년~: ITU-T에서 HDLC 기반 LAP 시리즈(LAPB, LAPD, LAPM) 개발
- LAPB: X.25 패킷교환망과 ISDN의 B 채널용
- LAPD: ISDN의 D 채널용
- LAPM: 모뎀용
- HDLC로부터 발전된 프로토콜: Frame Relay, PPP
정리
-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은 동기식(문자 위주/비트 위주)과 비동기식으로 구분
- 문자 위주 방식(BSC)은 제어문자 기반, 비효율적이어서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음
- 비트 위주 방식(HDLC 등)은 데이터 투명성, 효율성, 확장성에서 우수하여 현대 데이터 통신의 표준
- BSC는 정지-대기 ARQ, 반이중만 지원, HDLC는 Go-Back-N ARQ, 전이중/반이중/단방향 모두 지원
- 데이터 투명성: BSC는 DLE 문자, HDLC/PPP는 비트 스터핑(bit stuffing) 방식 사용
728x90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WAN 기술 (1) | 2025.06.05 |
|---|---|
| LAN 기술 (1) | 2025.06.04 |
| 데이터통신 핵심내용 - 1 (1) | 2025.05.15 |
| 데이터링크 제어 (0) | 2025.05.08 |
| 회선구성과 교환방식 (0) | 2025.05.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