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원하는 함수를 예약하여 호출하는 것을 '호출 스케줄링(scheduling a call)'이라 하며 이는 setTimeout, setInterval과 같이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setTimeout

setTimeout은 타이머와 같은 기능을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함수를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setTimeout (() => {
console.log("setTimeout, 1000ms");
}, 1000);
	
	console.log("Hello World");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 함수는 "Hello World"를 출력하고 1초 후에 "setTimeout, 1ms"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1000은 1000ms(1초)를 뜻한다

setInterval

setInterval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함수를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setInterval (() => {
console.log("Tic");
}, 1000);

setInterval (() => {
console.log("Tok");
}, 2000);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 함수는 1초 마다 "Tic"을 출력하고 2초 마다"Tok"를 출력하여 주기적으로 문자를 출력하게 된다.

 

clearTimeout / clearInterval

setTimeout을 호출하면 '타이머 식별자(timer identifier)'가 반환된다. 스케줄링을 취소하고 싶을 때, clearTimeout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setInterval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let ticTok = setInterval(() => {
console.log("Tictok");
}, 1000);
clearInterval(() => {
ticTok}, 10000);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 함수는 1초 마다  "TicTok"을 10초간 호출하고 더 이상 호출하지 않게 된다.

 

 

출처 : https://ko.javascript.info/settimeout-setinterval

728x90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p Method(맵 메소드)  (1) 2025.02.05
연산자, 약식연산자와 값 유형  (2) 2024.12.26
함수(Function)  (0) 2024.12.25
객체 레터럴  (0) 2024.12.24
배열 메소드 응용하기  (1) 202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