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에서 함수(function)는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코드를 의미한다.

이를 미리 만들어 두고 원할 때 실행하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함수를 만들 때, ‘function’ 예약어를 사용하거나 ‘=>(화살표)’ 기호를 사용하며 화살표 기호를 사용한 함수를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이라 한다.

이는

function() {}

() =>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함수에 이름을 붙이면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unction a() {}

const b = function() {}

const c = () => {}

와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함수 a 처럼, 함수를 상수에 대입하는 대신 function 키워드 뒤에 함수 이름을 넣어주는 방식을 함수 선언문(function declaration statment)이라 한다.

그리고, 두 번째와 세 번째 함수에는 각각 b와 c의 상수를 대입했는데, 이처럼 함수에 상수나 변수를 대입하는 방식을 함수 표현식(function expression)이라 한다.

이러한 함수를 만드는 행위도 선언한다(declare)고 표현한다.

만든 함수를 사용하는 행위를 호출한다(call)고 표현하며

예를 들면,

function a () {

console.log('Hello');

console.log('Function!');

};

a ();

Hello

Function!

undefined

와 같이 나타난다.

위의 부분은 함수선언문을 선언한 것 이며,

아래의 a(); 부분은 선언한 함수를 호출한 부분이고 출력이 된다.

undefined 부분은 반환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반환값이 없음을undefined 라는 반환값으로 나타내 주었다.

이는 함수선언문 안에서 return undefined;

가 생략된 모습이다. 따라서, undefined와 return undefined는 생략 가능하다.

return 함수를 사용한다면 그 부분을 마지막으로 함수는 종료된다.

그러므로, if문을 사용하여 함수의 실행부분과 종료부분을 설정할 수 있다.

728x90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출 스케줄링(scheduling a call)  (0) 2025.02.04
연산자, 약식연산자와 값 유형  (2) 2024.12.26
객체 레터럴  (0) 2024.12.24
배열 메소드 응용하기  (1) 2024.12.22
배열 반복하기  (0) 2024.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