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웹 통신의 핵심, HTTP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원리
웹 서비스의 근간을 이루는 통신 규약인 HTTP의 원리를 중심으로 웹의 소통방법과 그 소통에 응답하는 프로그램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글을 작성합니다.
HTT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기본 프로토콜, 즉 통신 규칙입니다. 모든 웹 통신은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이라는 간단한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
HTTP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비연결성(Connectionless)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으면, 그 즉시 연결을 끊습니다. 이는 불특정 다수가 접속하는 웹 환경에서 서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더 많은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또 다른 핵심 특징은 무상태성(Stateless)입니다. 비연결성의 특성으로 인해, 서버는 이전 요청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기억하지 못합니다. 각 요청은 독립적인 트랜잭션으로 취급됩니다. 이러한 무상태성을 보완하고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 등을 유지하기 위해 쿠키(Cookie)와 같은 기술이 사용됩니다.
HTTP 통신은 약속된 구조를 가진 메시지를 통해 이루어지며, 메시지는 요청과 응답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HTTP 요청 메시지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입니다. 주요 요청 메소드로는 자원 조회를 위한 GET, 새로운 자원 생성을 위한 POST, 기존 자원 수정을 위한 PUT, 자원 삭제를 위한 DELETE 등이 있습니다.
HTTP 응답 메시지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알려주는 메시지입니다. 응답은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데, 200번대는 성공, 300번대는 리다이렉션, 400번대는 클라이언트 측 오류(예: 404 Not Found), 500번대는 서버 측 오류를 의미합니다.
'웹서비스와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웹 브라우저의 역할과 기능 (0) | 2025.10.16 |
|---|---|
| 웹서비스 아키텍처의 구성 (0) | 2025.09.23 |
| 아키텍쳐와 객체지향 (0) | 2025.09.22 |
| 웹의 동작 원리, 인터넷 아키텍처와 동적 콘텐츠 (0) | 202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