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hub 명령어
init
레포지토리를 초기화하는 명령어이다.
status
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add
변경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하는 명령어이다.
(’git add .’를 입력하면 모든 변경사항이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다.)
commit
변경사항을 저장소에 기록하는 명령어이다.
(’git commit -m “text”’를 입력하면 저장소에 기록하며 ‘””’ 안에 있는 메세지가 함께 기록된다.)
log
변경사항 기록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git branch
현재 브랜치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git branch -m 이름’을 입력하면 현재 위치하는 브렌치의 이름을 바꾼다.)
git checkout -b
현재 위치하는 브랜치에서 나오며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고, 그 이름을 지정하는 명령어이다.
('git checkout -b 이름'을 입력하면 현재 위치하는 브랜치에서 나오며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고, 그 이름을 지정하는 명령어이다.)
git checkout -- .
브랜치를 마지막 커밋 단계로 리셋하는 명령어이다.
(’git checkout --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이름의 파일이 리셋된다.)
git merge
두 개의 브랜치를 하나로 합치는 명령어이며, 주로 개발이 끝난 기능을 메인 브랜치에 통합할 때 사용한다.
('git merge feature-branch'를 실행하면 현재 브랜치에 'feature-branch'의 변경 사항이 병합된다.)
cd
경로를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cd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이름의 경로로 이동한다.)
git rm
저장소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git rm 파일명’을 입력하면 해당 파일이 저장소와 디렉토리에서 모두 제거하며 변경사항을 자동으로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한다.)
git reset
헤드를 이전 상태로 되돌려주는 명령어이다.
(’git reset —hard HEAD~1’를 입력하면 HEAD에 있는 기록을 1단계 이전으로 되돌려준다.)
git branch -D
브랜치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git branch - D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이름의 브랜치가 삭제된다.)
git remote, git remote add
원격 저장소에 연결을 추가하는 명령어이이며 뒤에 원격 저장소의 링크를 입력해야 한다.
git push
코드를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로 원격 저장소로 가져온다.
(’git push 저장소명 브랜치명’을 입력하면 브랜치에 있는 코드 변경 이력을 저장소에 옮긴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상태 동기화 패턴(state synchronization pattern) 에 대하여 (3) | 2025.07.26 |
|---|---|
| 맥OS 터미널(terminal) 명령어 (0) | 2024.11.23 |
| 명령줄 인터페이스(CLI)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0)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