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표 설정
    프로젝트의 기능인 공간 조회, 공간 예약 조회  API 완성 것을 구체적인 목표로 삼았습니다.

  • 프로젝트 설정
     Next.js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env.local 파일을 만들어 Supabase와 연동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해하였습니다.

  • 이해하기
     "왜 이 폴더 구조를 써야 하는지", "왜 함수 이름이 GET인지"에 대한 질문을 통해, 파일 기반 라우팅HTTP 메서드 기반 함수 실행 등 Next.js의 핵심 동작 원리를 이해했습니다.

팀 프로젝트를 위한 협업 준비

  • Git & GitHub
    Git은 내 컴퓨터의 버전 관리 도구, GitHub는 코드를 공유하고 협업하는 웹 서비스라는 차이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 브랜치 전략
     main(배포용), develop(개발 통합용), feature(기능 개발용)으로 나누는 전략을 세우고, main은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 협업 흐름
     각자 feature 브랜치에서 작업 후 develop 브랜치로 Pull Request(PR)를 보내 코드 리뷰를 거쳐 병합(Merge)하는, 팀의 표준 작업 절차를 익혔습니다.

전문 개발자로 나아가기 위한 지식 확장

  • 웹 기본기 (Level 1): HTTP의 메서드와 상태 코드, 그리고 RESTful API의 설계 원칙을 깊이 있게 학습했습니다.

  • 견고한 아키텍처
    클린 아키텍처: 핵심 로직과 외부 기술을 분리하여 유지보수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높이는 설계 방식을 적용중입니다.
    DTO (Data Transfer Object): 계층 간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객체의 필요성과 역할을 이해하여 적용예정입니다.

  • Git 심화 문제 해결
    git pull origin dev 명령어의 올바른 사용법을 익혔습니다.
    Detached HEAD 상태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배웠습니다.
728x90